사업안내
자활사업에 참여하는 청년들이 ‘맞춤형 자립지원’을 통해 스스로 개인의 변화와 성장을 이끌어내고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자활 사업입니다.
사업 목표
- 지역별 거리노숙인 맞춤형 자립 지원 체계 구축 및 활성화
- 목표
- 지역별 거리노숙인 맞춤형 자립 지원체계 구축 및 활성화
- 추진
전략
-
- 거리노숙인의 정서적·신체적·경제적·사회적 회복을 위한 통합사례관리
- 거리노숙인의 상태와 욕구에 기반한 심리지원 프로그램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
- 거리노숙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일자리 개발 및 지원
- 지역주도형 사업추진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는 사업 개발
- 사업
운영
-
- 일자리제공
-
- 사회적 경제 연계 일자리 창출
- 비영리기관(지역자활센터 등) 연계 일자리 발굴
-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공헌 일자리 개발
- 심리지원
프로그램
-
- 대상자 특성에 맞는 상담 및 정서지원 프로그램 운영
- 사회성 향상 및 자립의지 강화
- 교육훈련
프로그램
-
- 대상자의 잠재능력 개발을 통한 근로의욕 고취
- 일자리 특성에 맞는 직업능력개발
- 자기관리 및 자기계발 프로그램 지원
- 통합
사례관리
-
- 주거 제공, 응급의료 연계 등 지역자원 연계
- 지역사회의 상시적 자원 연계망 구축
연혁별 사업 실행기관 현황
연혁별 사업 실행기관 현황 - 구분, 실행기관, 세부 현황
구분 |
실행 기관 |
세부 현황 |
2019년 |
10개소 |
노숙인종합지원센터(6개), 노숙인복지시설(2개), 지역자활센터(2개) |
2020년 |
8개소 |
노숙인종합지원센터(6개), 노숙인복지시설(2개) |
2021년 |
8개소 |
노숙인종합지원센터(6개), 노숙인복지시설(2개) |
2022년 |
10개소 |
노숙인종합지원센터(7개), 노숙인복지시설(3개) |
2023년 |
10개소 |
노숙인종합지원센터(7개), 노숙인복지시설(3개) |
‘23년 기준 실행기관 현황
‘23년 기준 실행기관 현황 - 번호, 지역, 기관명
번호 |
지역 |
기관명 |
1 |
광주 |
광주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|
2 |
인천 |
내일을여는자활쉼터 |
3 |
대구 |
대구노숙인종합지원센터 |
4 |
대전 |
대전광역시노숙인종합지원센터 |
5 |
부산 |
부산소망종합지원센터 |
6 |
부산 |
부산희망등대종합지원센터 |
7 |
서울 |
서울시립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|
8 |
경기 |
수원다시서기노숙인종합지원센터 |
9 |
서울 |
열린복지 디딤센터 |
10 |
서울 |
햇살보금자리 |
사업 내용 및 업무 처리절자
사업내용
사업 내용 및 업무 처리절자 - 구분, 사업 운영 내용
구분 |
사업 운영 내용 |
일자리 제공 |
- 사회적 경제 연계 일자리 : 사회적 취약계층 일자리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경제 조직(지역 내 협동조합, 마을기업, 자활기업 등)과의 연계를 통한 일자리 발굴 및 취업 지원
- 비영리기관 연계 일자리 : 지역자활센터 및 복지관 등 지역 내 비영리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일자리 발굴
-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공헌일자리 개발
|
심리지원 프로그램 |
- 개인 심리상담(심리치유), 집단상담, 사이코드라마, 예술치료(음악치료, 미술치료 등), 심리검사, 인문학 강좌, 기타 다양한 활동치료와 참여 프로그램
|
교육훈련프로그램 |
- 구직기술 향상 교육, 자립능력 향상 교육 등 대상자의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근로의욕을 높이는 교육 훈련 프로그램
- 신용회복 프로그램, 금전관리 프로그램, 채무조정교육, 생애설계 노후 준비 상담 등 자기계발 및 자기관리 프로그램
|
통합 사례관리 |
- 주거 제공, 응급의료 연계 등 지역자원 연계
- 지역사회의 상시적 자원 연계망 구축
- 참여 종료자 사후관리 지속
|
업무 처리절차
사업 추진 노력
사업규모
전국 6개 대도시, 10개 시설에 거리노숙인 자활 일자리 지원체계 구축
- 사업참여자 실인원 기준('21년 8개소 291명 → '22년 10개소 395명 → '23년 10개소 322명)
- 사업 참여자 연인원 기준('21년 1,286명 → '22년 1,838명→ '23년 1,717명)
사업근거 마련
- 「2023년 노숙인 지침」내 사업 수록 추진 및 「제2차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 계획」 내 포함으로 사업 근거 및 확대 명분 획득
일자리 제공 고도화
- 지역 연계 일자리 네트워크 추진을 위한 기관 간 업무협약(MOU) 체결 9건
사업성과 확산 및 홍보를 위한 언론보도
- 보건복지부 및 한국일보를 통한 사업 참여자 성과 내용 인터뷰 언론보도 추진
대표사례
한국자활복지개발원, '거리노숙인 특화 자활사업 발전방안 모색 토론회' 개최 (시민일보 2023.10.17)
- 노숙인 등의 자활, 자립 지원 및 노숙인 맞춤형 자활사업 활성화 방향 함께 모색
사업 추진 성과(2019년 ~ 2023년 기준)
전체 거리노숙인 중 30% 수준에 달하는 사업 수혜율
(단위 : 명, %)
전체 거리노숙인 중 30% 수준에 달하는 사업 수혜율 - 구분, 거리 노숙인 현황, 사업 참여자 현황 안내
구분 |
거리 노숙인 현황* |
사업 참여자 현황 |
인원 |
사업 수혜 비율 |
2019년 |
1,246 |
380 |
30.5 |
2020년 |
1,241 |
394 |
31.7 |
2021년 |
1,201 |
291 |
24.2 |
2022년 |
1,594 |
395 |
24.8 |
* 연도별 거리 노숙인 현황은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참조
높은 수준의 사업 자립 기반 확보* 성과
(단위 : 명, %)
사업 참여자 중 과반 수 이상의 심리·교육훈련 참여 성과 - 구분, 참여자, 주거지원 연계, 수급권 연계, 상위 일자리 연계 안내
구분 |
참여자 |
주거지원 연계 |
수급권 연계 |
상위 일자리 연계 |
인원 |
비율 |
인원 |
비율 |
인원 |
비율 |
2019년 |
380 |
157 |
41.3 |
86 |
22.6 |
56 |
14.7 |
2020년 |
394 |
187 |
47.5 |
176 |
44.7 |
169 |
42.9 |
2021년 |
291 |
166 |
57.0 |
148 |
50.9 |
101 |
34.7 |
2022년 |
395 |
161 |
40.8 |
184 |
46.6 |
130 |
32.9 |
2023년 |
322 |
277 |
86.0 |
148 |
37.5 |
91 |
28.3 |
*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거리노숙인 서비스 이용률(주거지원 8.7%, 일자리 연계(자활·공공근로 등) 18.7%) 대비 높은 자립 기반 확보 성과
사업진행 사진
일자리 제공
심리지원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